이를테면 우리 회사의 미션과 비전의 중심에는 작가들이 있다. 웹툰, 웹소설 등 뛰어난 스토리의 창작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퍼블리싱하고 팬을 모으고, 나아가서 돈을 벌수 있게끔 해주는 플랫폼의 구축. 이를 통해서 창작자들이 성공하는 과정을 보는 것이 우리 회사의 미션이다. 때로는 수익모델에 집중하고 때로는 트래픽 모으기에 집중하는 등 단기적으로는 다른 영역에 포커스가 맞춰졌지만, 우리가 설립한 날부터 지금까지 작가 중심의 비전은 한번도 변한적이 없다. 뛰어난 IP (원천 컨텐츠) 가 있어야 컨텐츠 사업이란걸 할수가 있는데, 결국 이런 IP는 작가들에게서 나오기 때문이다.
물론 작품을 읽는 독자들도 우리 서비스의 “유저”고, 따라서 작가, 독자들 양쪽 다 신경을 써야 한다. 보통 “유저” 라고 하면 숫자가 더 많은 쪽, 즉 컨텐츠 소비자를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 때로는 이런 “유저”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순간, 그 단어가 주는 대표성과 중립성 떄문에 유저가 실제 사람이 아닌 어떤 “개념”인것처럼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한다. 즉 “유저” 에서 “사람” 이 빠지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유저” 라는 개념에 “사람”이 덧입혀질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 있었다.
예전에 구글에 다닐때, 우리가 맡았던 블로거닷컴이라는 프로덕트는 그야말로 “구글 스케일”, 어마어마한 규모의 서비스였다. 하루에 DDoS 공격만 수천번을 당할 정도였고, 수천만개의 블로그가 개설된 서비스였으니까.
이러다 보니 “유저” 라는 단어에 대해서 어떤 뭉뚱그려진 개념이 아닌 실제 사람으로 생각하기는 쉽지 않았고, 오히려 그렇게 “퍼소나”를 상정하는 순간 그 퍼소나가 아닌 다른 퍼소나를 배제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이런것이 소위 말하는 “제네럴 서비스”, 즉 스케일이 너무 커져서 일반화, 범용화되어버린 서비스의 어려움이기도 하다.
근데 어느날, 하루는 블로거닷컴에서 새로 개설된 한 블로그를 아주 우연히 보게 되었다. 호주에 사는 13세 소녀가 처음 개설했던 블로그. 그걸 개설했던 이유는, 안타깝게도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고 나서 자기가 죽기 전에 하고싶었던 “버킷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서였다.
나는 개인적으로 그 블로그를 팔로우 하기 시작했다. 한번도 만나본적 없는 소녀였지만 그가 기쁜 날은 나도 덩달아 기뻤고, 그가 병과의 싸움에서 조금씩 밀려서 힘들어했던 날은 나도 기분이 다운되곤 했었다.
누군가가 재미로 만들었을수도 있는 donation 위젯은 그녀가 버켓리스트를 실행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안타깝지만 결국 그녀는 병마와의 싸움에서 이기지는 못했던것 같다. 그때 전후해서 팀원들에게 보냈던 이메일에서 나는 이렇게 얘기했던것 같다. 우리가 날마다 하는 일이 너무 바쁜 나머지 정작 우리가 하는 일의 의미를 잊어버릴 때도 있지만, 이 13세 소녀의 블로그를 볼때, 우리가 만드는 툴이 세상의 누군가에게는 그가 하고자 하는 의미있는 일에 아주 작은 보탬이나마 줄수 있는 도구로 쓰여질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때.. 그럴때가 우리가 하는 일의 의미를 새삼 깨닫게 되는 때라고.
그때가 나에게는 “유저” 라는 단어에 “사람” 이라는 의미가 덧입혀진 때였다. 서비스를 만드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유저”를 생각해야 하고, 특히 “유저”가 “사람” 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