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유학중이신 안철수 의장께서, 우리나라에서 미래 성장을 기대해볼 수 있는 벤처가 없고, 덩치가 커진 벤처들이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는 현상을 지적하셨다고 한다.
특히 그는 최근 들어 일부 기업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벤처 산업 구조는 오히려 이전보다 더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했다.
“5년 전을 보세요. 그래도 NHN·다음 등 희망을 걸어볼 ‘씨앗’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런 기업조차 없어요.” 그는 더 나아가 “덩치가 커진 벤처기업들이 새 씨앗을 밟으며 기업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 같은 미국 기업은 적어도 자신과 협력업체들이 함께 클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듭니다. 하지만 한국의 큰 기업들은 단기적인 목표에만 너무 충실한 것 같아요.”
그런가 하면, 소프트뱅크 미디어랩 류한석 소장께서는 최근 한경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에 투자할 벤처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온라인 기사에는 삭제가 된 모양인데, 어제 종이 신문으로 보니 서울대 대학생 벤처팀이 학내 게시판에 벤처 창업에 동참할 사람을 모집한다고 올려놨더니 누군가 댓글로 “지금 시대가 어느땐데 아직까지 정신 못차리고 쓸데없는 걸로 사람 현혹하려고 하느냐”는 투의 말을 했다고 한다…
그는 “소프트뱅크가 투자하려고 한국에 들어왔는데 요즘에는 투자하고 싶어도 투자할 만한 벤처가 없다”며 “키워서라도 투자해야겠다고 생각해 리트머스라는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류 소장은 “요즘 한국에서 웹2.0(사용자가 참여하고 공유하는 인터넷)과 관련된 창업은 거의 없다”면서 “이렇게 심각한 적이 없었다”고 우려했다.
한편 최근 코리안클릭 유도현 대표께서는 한 세미나에서 “과거 3년간 혁신적인 서비스가 등장하지 않았다”고 발표하셨다.
“1위(네이버)와 2위(다음)를 더하면 61%이고, 3위까지 더하면 80%에 육박합니다. 신규 진입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 서비스의 선호도에 따라 움직이는 과거와 달리 최근 3년 동안은 경쟁의 틀을 바꿀 수 있는 혁신 서비스들이 목격되지 않고 있습니다”
저쪽 실리콘밸리쪽에서 나오는 뉴스에선 “버블”이라는 말의 빈도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버블은 커녕 창업기업이 너무 없어서 문제인 것 같다. 여기에는 그리 크지않은 규모의 시장이 상위사에 의해 강력히 과점되고 있는 게 한몫을 하고 있다는 게 위의 첫번째와 세번째 글의 지적이다.
그만큼 사업을 잘 하고 계시는 것이기도 하지만, 더 큰 나무로 성장하는데만 신경을 쓰는 나머지 자칫 묘목들이 자라지 못하고, 이로 인해 숲의 힘 (‘지기”) 자체가 약해지지는 않을까 하고 걱정이 되기도 한다. “공룡 기업” 이면서도, 동시에 IT 전공자들의 “제일 재미있는 샌드박스”가 되기도 한다는 것은 전적으로 이율배반적인, 그래서 불가능한 일일까? 중소기업과 대학교 연구소라는 든든한 숲을 바탕으로 공생하면서, 날로 더욱 무섭게 성장해 나가는 노키아같은 회사를 보면, 위의 명제는 완전히 이율배반적인 것만은 아닌것 같기도 하다.
좋은 아티클 잘 보았습니다.
여러모로 생각하게 만드는 글이네요..
trackback from: Retorvirus 같은 Venture
Virus 는 Latin어로 poison 또는 toxin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마 그만큼 몸에 해롭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을 것 같다. Virus는 스스로 살아갈 수 없고 특정한 환경에서 즉 기생을 통해서만 생명체 활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edge of life" 또는 더 나아가서는 무생물로 분류하는 사람도 있다. 대부분의 Virus는 아주 단순한 DNA를 가지고 있으나 특정한 경우에는 DNA 없이 RNA만을 가지고 있는 놈들도 있다. 이..
박장(호)빵맨님 안녕하세요-
제가 말씀드렸던 것은 그들의 선택을 비난할 수는 없다는 부분 입니다. 안타까운 것은 NHN에 가서 호위호식하는 것보다 벤처나 작은 회사에서 능력을 발휘해서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고자 노력하는 20대가 별로 없다는 부분이었고요 ^^
새로운 인재를 키워서 업계로 배출해야 한다고 적으셨던 말씀에는 저도 깊히 공감합니다. 전 배출 외에도 NHN이 게임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의 일부만이라도 학생들이나 젊은이들의 도전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기금으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은 우리 같은 사람들의 바램 뿐이겠죠 흙.
promise4u님 의견 잘 봤습니다.
그런데, 사실 조그만 회사가 NHN만한 복리후생을 제공할 수는 없지요.
그렇게 보자면 답은 없죠. 차라리 조그만 회사 좋은 인재들 다 NHN에 몰아
주는 게 답일까요? 푸념일 수도 있겠지만, 가끔 그런 생각을 정말 해 봅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안철수 씨 인터뷰 기사를 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군요.
그는 최근 벤처업계에서 인력을 대폭 확충한 NHN을 예로 들었다. “그 정도 되는 기업이라면 지금처럼 기존 업계에서 숙련된 엔지니어를 채용할 게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엔지니어를 키워서 업계로 배출해야 합니다.”
저는 이게 가장 와닿습니다. NHN 같은 데서 사람을 싹쓸이(?)해 가버리니 도무지 작은 회사에서는 사람을 구할 수가 없습니다. 안타까운 상황이지요.
축구를 하던 산업이 발전하던 미드필더가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미드필더들이 전부 부상당했거나 전멸했다고 봐야죠.. 더 이상 꿈나무 축구교실처럼 후배들이 제대로 양성되지 않고 있으니 선수층(?) 이 얇을 수 밖에요 ^^
전 NHN에서 싹쓸이 해나간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누구나 좋은 복리후생이 있는 회사로 들어가고 싶겠죠. Google이 본격적으로 작업이 들어가서 개발자들이 대부분 Google로 이직하거나 취직한다고 해서 싹쓸이 했다고 이야기 할 순 없을 것 입니다. 작은회사는 상대적으로 NHN이나 GOOGLE에 비해서 비전을 심어주지를 못하죠, 그들을 비난할 수 없습니다 결국엔 취직한 사람들의 선택이니까요 ^^
뼈가 단단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러져봐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 오늘날은 도전 정신을 가진 20대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는게 아쉽습니다.
@박장(호)빵맨 – 2007/11/05 17:37
게다가 우리나라 선수층(?)이 의외로 얇기도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