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ter Place vs. Tesla

2010년대 초반만 해도 전기차의 미래를 열어갈 거라고 기대를 모았던 업체는 테슬라가 아니라 Better Place였다. Better Place의 CEO였던 Shai Agassi는 다보스 포럼같은 자리에 늘 빠지지 않고 초청될 만큼 세계를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중 한명으로 추앙받았고, Better Place 라는 회사는 (지금도 흔치 않고 당시로는 거의 독보적이었던) 1조원 가까운 돈을 투자받았었다. Better Place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시간이 긴 문제를, 아예 배터리를 … Continue reading Better Place vs. Tesla

누군가는 먼저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말

2009년 파리에서 열렸던 르 웹 (Le Web) 컨퍼런스에 아시아 웹 관련 세션의 스피커로 초청되어 간 적이 있다. 컨퍼런스는 12월에 열렸고, 그날 파리에는 부슬부슬 눈이 내렸다. 파리는 겨울에도 눈이 많이 오지 않는 도시였는지, 불과 2-3 cm의 눈만 왔었는데도 불구하고 도로는 온통 마비가 되었고, 수천명의 컨퍼런스 참석자들은 택시를 잡지 못해 발을 동동 굴렀다. 우리 일행도 그중의 일부였다. … Continue reading 누군가는 먼저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말

서비스 > 앱

참고 글 모바일 유저들은 89%의 시간을 앱에서 보내고, 모바일 사용도가 높다보니 사용자의 전체 미디어 이용중 52%가 모바일 앱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여기까지만 보면 모바일 앱에 아직도 큰 기회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여기도 통계의 함정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듯. 이를테면 전체 사용비율중에 반 이상이 상위 2개앱에 몰리고 있고, 사용자가 설치한 앱은 평균 27개에서 그대로 머물러 있다는 것. … Continue reading 서비스 > 앱

Wait but Why

엘론 머스크에 대해서는 기사도 많고 최근에 책도 나왔다고 알고 있지만, 내가 본 글 중에서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글 소개. Part 1Part 2 Wait but Why 라는 사이트는 어떤 주제에 대해서 엄청나게 자세하게 풀어서 쓰는 블로그 사이트. 이를테면 ISIS의 기원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 6세기 모하메드의 생애까지 리서치에 리서치를 거듭하고, 그렇게 알게되고 정리한 지식을 학생들도 이해할수 있게 … Continue reading Wait but Why

MBA가 점점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이유 (포천 매거진)

“…MBA가 어떤 스킬을 가르쳐 주는지에 대한 의문이 드는것 외에도, MBA 따는데 기회비용까지 감안하면 100만불이 들수도 있다는 것. 하버드나 스탠포드같은 탑스쿨은 1년에 학비가 10만불가까이 들고, 만일 프라이빗 에쿼티 분야에 있다면 1년에 30만불 가까운 연봉을 포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Besides skepticism over how much an MBA really enhances someone’s skill set, the policy changes are apparently motivated … Continue reading MBA가 점점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이유 (포천 매거진)

쿠팡 뉴스에 대한 몇가지 생각

한킴 대표 블로그: 국내시장은 크다하고 늘 주장해왔다.  우리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높은가격을 인정받으면서 큰투자금을 (100억이상) 받은곳은 쿠팡, 배달의민족, 직방, 또 비트패킹이다.  다 거의 국내사업위주다.   한국은 매력적인 시장이고 혁신해야될것도 엄청많고 높은 가치를 인정받을수있고…앞으로도 더 그런기업들이 많이 나올수있다고 믿는다. 어제 쿠팡 대규모 투자관련, 대부분 기사들이 당연히 김범석대표와 손정의회장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주목해야 할 또하나 중요한 포인트는 … Continue reading 쿠팡 뉴스에 대한 몇가지 생각

실리콘밸리의 집값 거품

기사 원문 실리콘밸리 지역에서 발생한 집 구매관련 검색을 분석해 본 결과 2011년에서 2015년까지 베이지역에 대한 검색 비중은 점차 낮아진 반면, 시애틀, 포틀랜드등 다른 미국 서부지역에 대한 검색비중은 급격히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함 (Redfin.com 자료). 이동네 집값은 정말 말도 안되고, 따라서 내 주변에도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를 검토하는 사람들도 보이고 있음. “달도 차면 기운다”고, 실리콘밸리 지역의 미친 … Continue reading 실리콘밸리의 집값 거품

Re-imagining

Mary Meeker 인터넷 트렌드 리포트 중에서.. 소프트웨어가 지금까지의 오프라인 비즈니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 주었다면, 이제는 소프트웨어의 강력한 힘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일이라는 것의 정의 자체를 다시 생각해 볼 때라는 Box의 Aaron Levie의 말. 이러한 소위 “Re-imagining”은 이번 인터넷 트렌드 리포트의 핵심 챕터중 하나. 이는 데스크탑과 모바일도 마찬가지. 모바일 앱 1세대는 기존의 웹 서비스들이 모바일로 옮겨온 것이라면, … Continue reading Re-imagining

IoT/AR의 “구글 모먼트”?

전기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 “전기”라는 것을 보여주는 비즈니스가 있었다. 돈을 받고 입장한 고객들에게 전구에 불이 들어오는 것을 보여주면, 돈을 내고 입장한 관중들은 탄성을 자아내는 식이었다. 비슷한 맥락으로, 인터넷이 처음 나왔을때 가장 먼저 등장했던 사업모델은 인터넷 자체를 파는 모델이었고 (ISP , 호스팅 등의 사업), 영화가 처음 나왔을때 사람들은 오프라인에서도 똑같이 볼수 있는 공연이나 쇼를 그대로 찍어서 … Continue reading IoT/AR의 “구글 모먼트”?

모바일 인터넷 > PC 인터넷

모바일 인터넷이 PC 인터넷보다 더 광범위한 인터넷이라는 흥미로운 Benedict Evans의 글.  흔히 생각할때 데스크탑이 화면도 크고 키보드도 있으니 더 완전한 사용자 경험 웹이고, 모바일은 화면도 작고 인터페이스 한계가 있으니 데스크탑 웹의 “스케일 다운 버전”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반대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 데스크탑에서는 웹이 플랫폼으로써 모든것을 지배했지만 모바일에서는 웹 브라우저는 하나의 앱일 뿐이고 나머지 수많은 … Continue reading 모바일 인터넷 > PC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