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어디께 제일 좋아요?

내가 노트북 박사도 아니건만, 지인이 메신저로 내게 묻는다. 노트북 어디께 제일 좋냐고.. 뒤늦은 정보지만 맥북과 맥북프로의 인기에 힘입어 애플이 노트북 시장 시장점유율 14.3%로 4위에 올랐다고 한다. (아마 미국시장만을 대상으로 한 듯하다.) 1년여간 써본 결과, 정말 키감 하나만큼은 맥북프로를 따라갈 제품이 없는 것 같다. Bootcamp를 활용한 듀얼 부팅도 마음에 쏙 드는 부분. 물론, 우리나라 인터넷 뱅킹에서 … Continue reading 노트북 어디께 제일 좋아요?

만들기의 중요성과 “젊은 두뇌”

“벤처에서는 무엇을 만들어서 세상에 내보이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한 것이 없는 것이다” 라는 말은 너무도 평범한 말이지만, 이 말이 진정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느끼고 의식뿐 아니라 무의식의 방향까지도 이 말에 맞추는 데까지는 꽤 많은 시간과 경험이 필요한 것 같다. 요즘 그래서 말 수와 글 수가 적어진다. 자신이 해당 분야에 대해서는 모든 걸 알고 있는 사람인 양 말하면서 … Continue reading 만들기의 중요성과 “젊은 두뇌”

한글 폰트에 관한 그라피티에님의 글

한글 폰트와 관련된 글에 대해서 graphittie님이 답글로 남겨주신 내용이다. (에공.. 그라피티에님은 링크를 걸 수가 없네…) 이슈에 대한 명확한 정리! — 웹 상에서 똑같은 레이아웃을 한글 버전으로 봤을 때 라틴어권 보다 디자인이 허접해 보이는 것은 흔한 일이지요… 그런데, 이 문제는 궁극적으로 한글의 문제라기보다 폰트 디자인의 문제입니다. 아시겠지만 라틴어권 폰트는 그 자체가 크기나 모양이 변동적이어서 타이포그라피라는 용어를 … Continue reading 한글 폰트에 관한 그라피티에님의 글

혁신 제품과 기술적 최소공배수

Yahoo! Finance 에서 애플, MS, Dell 의 지난 5년간의 기업가치 변동 추이를 찾아보았다. 애플이 (적어도 시가총액 측면에서) 나머지 업체들을 따돌리고 질주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아이팟/아이튠스가 인기를 얻기 시작한 시기인 듯하다. 패러다임을 바꾸는 프로덕트/서비스 하나가 기업의 수년간의 명운을 바꾼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그럼 아이팟/아이튠스는 언제부터 인기를 얻기 시작했나? 그것은 윈도즈용 아이튠스 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라는 … Continue reading 혁신 제품과 기술적 최소공배수

tnf = 술

CAPS LOCK이 켜진줄 모르고 워드에서 TNF 를 치니, tnf 로 찍혔고, “술” 로 자동으로 바뀌었다. TNF 라는 이름에 숨겨진 뜻이 많다는 건 익히 알고 있었지만 (태터앤프렌즈, 태터네트워크파운데이션…) TNF의 또 하나의 의미는…술이었나? Continue reading tnf = 술

세상엔 이렇게 예쁜 개발자도 있다

Pownce 라는 서비스에 가보니, 리드 개발자가 Leah라는 이름의 (스타워즈에 나오는 프린세스 리아?^^) 예쁜 24세 금발머리 여자고, UI 디자이너가 남자다. 이런걸 보고 성 역할이 바뀌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관습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것일까?   덧. Digg.com 의 케빈 로즈도 보인다. 나와바리 넓군. Continue reading 세상엔 이렇게 예쁜 개발자도 있다

간단 UI와 한글 폰트

웹 2.0으로 오면서부터 서비스 가입절차가 점점 간단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서비스들은 아직도 주민등록번호를 넣으라고 하는데가 많지만)   그런데 여기는 그중에서도 정말 간단하고 시원시원스러운 가입 UI 다.   한가지 억울(?)한 것은, 이렇게 큼지막한 폰트를 썼을 때, 영문 사이트는 시원시원해 보이는데, 국문 굴림체 폰트로 바뀌면 미려해 보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영문 폰트를 썼을 때 매우 엘레간트 해보이는 stylefeeder 사이트의 … Continue reading 간단 UI와 한글 폰트

블로그 vs. SNS

블로그에 대해서 사뭇 대조적인 두 개의 글을 보았다.   하나는 뒤늦게 블로깅을 시작했지만 블로그의 가치를 이제서야 발견했고, 따라서 다른 사람들도 기다리지 말고 블로그 세계에 뛰어들라는 넷스케이프 창업자 마크 앤드리슨의 글이었다.   또 하나는 “블로그가 죽었나?” 라는 제목의 Read/Write Web 의 기사였다. 내용인즉슨 블로그보다 마이스페이스/페이스북 등의 소셜 네트워킹이 대세이고, 개인들은 자신의 컨텐츠를 개인 블로그가 아닌, 소셜 … Continue reading 블로그 vs.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