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위험한 것은 어쩌면 이분법적인 생각

류한석 소장님의 “순진한 개발자가 사내정치에서 살아남는 법“이라는 글을 보고 난 후의 생각이다. 글의 요지는 아마도 “개발자들은 사내 정치에 휘둘려서 피해를 보기 쉬우며, 따라서 그렇게 일방적으로 당하지 않으려면 정신 똑바로 차려야 한다” 정도로 요약되는 것 같다. 물론 이러한 실제 피해사례(?)가 많아서 이런 글이 나오게 되었을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내 개인적인 생각은, 가장 위험한 것은 어쩌면 이 … Continue reading 가장 위험한 것은 어쩌면 이분법적인 생각

Disqus, 과연 편한걸까?

요새 저쪽 바다넘어 블로거들이 많이 달고있는 듯한 블로그 커멘트 호스팅 시스템, Disqus가 과연 정말 편할까 생각해 보게 되었다. (참조: 이 회사에 최근 투자한 VC인 프레드 윌슨의 글) Disqus는 블로그 커멘트 호스팅 서비스다. 블로그마다 댓글을 저마다 따로 갖고 있으니 트래킹이 안 되고, 따라서 내가 여러 군데에서 남긴 댓글을 한군데에서 모아서 내 프로필과 함께 보여주자는 것이다. 텍스트큐브의 … Continue reading Disqus, 과연 편한걸까?

부모 2.0

김영사에서 만든 부모 2.0 사이트라고 한다. (쿠키뉴스 기사) 오픈한지는 며칠 된 모양인데 얼마전에 발견하게 되었다. 부모라는 특정 세그먼트를 위한 정보 및 네트워킹 사이트라는 점에서 점수를 줄 수 있겠지만, 반면 “부모”라는 단어에도 2.0이 붙는다는 게 어쩌면 웹 2.0이 버블이라는 반증이 아닐까 하는 우려도 든다. 그나저나 파이어폭스에서는 메인페이지가 깨진다. div없이 테이블로만 짰고 width값도 다 주었는데 왜 오버플로우 … Continue reading 부모 2.0

“오픈”보다 중요한 “가치”

나를 포함해서 오늘 웹 2.0 코리아 2008 행사에 오셨던 강의자 분들중 “오픈”, “데이터 포터빌리티”, “소셜”을 이야기하지 않은 분은 없었다. 내가 발표자일 때는 중요한 트렌드라고 생각해서 말을 하게 마련이지만, 듣는 사람 입장에서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얘기를 하는 걸 듣는건 조금 지겨울 수도 있겠다는 우려마저 살짝 들었다. 방금 뉴스를 보니 오픈소셜에 야후도 참가한다고 한다. 확실히 오픈, 포터블 … Continue reading “오픈”보다 중요한 “가치”

독일 군대시스템의 헛점

어제 W3C컨퍼런스에서 독일에서 온 사람과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었는데, 자기 친구는 생일이 2월 29일인데 2월 29일이 4년에 한번 오는 나머지 실제나이 스무살때 독일 병무청 기록에는 다섯살로 잡혀서 “영장”이 안나왔다고 한다. (독일도 영장 나와서 군대가나? 모르겠다.) 아마 독일 병무청 프로그램이 if (date(birthday) > currentDate()) { conscriptionAge += 1; } 머 이런식으로 짜여져 있나보다 (맞나? 요새 떠듬떠듬 프로그래밍책을 … Continue reading 독일 군대시스템의 헛점

데이터 포터빌리티에 딴지걸기

개인적으로 한번 만나본 적도 있는 Forrester Research의 유명 애널리스트 Charlene Li가, “Graphing Social Patterns” 컨퍼런스에서 키노트 스피치를 했다. 발표 자료는 아래 Slideshare를 참고. | View | Upload your own 요새 대략 이러한 쪽의 주제들이 화두로 등장하는 것 같다. 유저의 프로필과 관계 데이터를 따로따로 들고있는 서비스들이 자꾸 늘어나다 보니, 크게 두 가지 이슈가 대두되는 것 같다. … Continue reading 데이터 포터빌리티에 딴지걸기

애플, 가장 존경받는 회사

포브스에서 발표한 “가장 존경받는 회사 (America’s most admired companies)” 리스트 1위에 애플이 꼽혔다.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의 측면에서 보면 스티브 잡스는 거의 빵점에 가깝고, 오히려 가장 존경해야 할 사람은 빌 게이츠일텐데… 하긴, 내가 교회 고등부에서 맡고있는 17세 여자 고등학생애가 아이폰을 사서 들고다닐 정도니. Continue reading 애플, 가장 존경받는 회사

블로그와 소셜 네트워크의 결합

어떤 산업에서든지 일부의 소수만이 누리던 특권을 민주화시켜 주는 (“democratization”) 사업자는 환영을 받고 성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렌즈를 통해서 비즈니스를 바라보는 것은 재미있다. 리츠(REITs)는 일부의 소수자들만이 행하던 빌딩 부동산 거래를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도록 “민주화”시킴으로써 몇년전 환영을 받은 바 있다. UCC는 동영상 제작자가 고가 장비와 촬영기술을 갖춘 일부 극소수의 사람들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수백년 … Continue reading 블로그와 소셜 네트워크의 결합